저자 : 로타르 J. 자이베르트
출판 : 좋은생각
발매 : 2011. 01. 17
제목만 들어서는 알 수 없는 책의 내용. 인생을 단순하게 살라는 것이 맞는가? 그럼 성공하는 게 맞는가? 과연 그런 내용인지 알아보면서 이 책을 읽어 봤고 인상 깊었던 글귀에 대한 내 생각을 적어봤다.
단계별로 시간에 대한 이야기가 써져있다.
1단계 : 시간에 대한 착각들이여, 안녕!
시간이 없다. 시간이 없다. 할것이다. 그게 사실이기도 하고 현대사회에서는 모든 게 빠르게 빠르게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우리에 시간을 없다. 그러나 인생이란 이러면 안 되는 것이다. 사람이 일만 하다 보면 어느새 힘도 빠지고 의욕과 몸과 마음이 힘들어질 것이다. 우리는 여유를 가지고 살아야 한다. 시간은 모두에게나 같은 만큼 그걸 쪼개서 바쁘게만 산다면 어느 순간 자기의 시간 자체가 없어질지 모른다.
이 책에서 말하는 쉬어라! 놀아라! 빈둥거려라!는 우리의 인생에서 얼마간에 여유를 만들라고 말하는 게 아닐까 생각해본다. 그 여유에서 우리 나아가야 할 길을 저 뚜렷이 볼 수도 헤쳐나갈 힘을 얻기도 할 것이다. 너무 꽉 찬 인생 스케줄이 아닌 어느 정도 여유가 느껴지게 시간을 잡아보는 게 어떨까
2단계 : 내 시간의 유형을 파악하라!
이 책에서 나타내는 여러유형을 설명하고 있고 그들의 시간 유형이 어떤지에 따라서 나의 시간도 그 사람의 시간 유형에 맞추어 어떻게 행동해야 할 것인가를 말해주고 있는 거 같다. 하지만 결국은 나 스타일이 어떤지 내 스스로 생각해보고 그 안에서 여유를 찾아보는 게 어떤가 싶다.
사람마다 스타일이 다르고 행동패턴이 다르듯이 시간 패턴 또한 다르다. 누구는 오전에 힘을 내야 하고 누구는 새벽이 돼야 일하는 능력이 나올지 모른다. 내 시간의 여유를 위해서는 내가 어떻게 행동하는가 어떤 시간 때에 힘을 낼 수 있는가 그때가 아니라면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생활하고 그 시간에 압박을 받지 말았으면 좋겠다.
인생은 길다. 행복하기 위해서는 나 자신의 삶의 길에서 쉴수있는 쉼터를 나 스스로 만들어야 할거 같다. 내가 만들고 내가 잘 지켜주자. 나의 쉼터를.
3단계 : 시간을 내 것으로 만드는 법
여기서 설명하는 시간을 내 것으로 만드는 법 중에 우선순위를 정하라는 말이 있다. 지금 바로 해야 하는 일 나중에 해야 하는 일 중요한 일 중요하지 않은 일 이런 식으로 생각을 해 우선순위를 만들면 나으 시간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바로 해야 하는 일과 중요한 일은 다르다. 난 중요한 일을 먼저 해야 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가끔 중요하지도 않으면서 지금 해야 하는 일을 하고 있다.
나 또한 이런 적이 많은데 그렇다 보면 결국은 중요한 일은 해야 하고 그때가 되면은 시간은 없고 그런게 반복됨으로써
스스로 시간이 없다 생각할수 있을 것이다. 시간은 누구한테나 같기 때문에 시간효율을 중시한다면 지금 당장 중요한 일부터 시작하고 중요한 일이 끝난다면 시간은 있지만 중요한 일이나 바로 해야 하는 일이지만 많이 중요한 일 중에 하나를 다시 골라 일을 해보자.
4단계 : 인생의 꿈과 소원을 찾아서
시간을 아끼고 인생의 여유를 가지고 삶을 산다는건 무엇을 위한 걸까? 결국 나 자신을 위한 길이라 생각한다. 시간을 아끼고 여유를 즐기는 건 삶을 즐겁게 재밌게 살려고 그러는 거다. 그렇다면 이 여유시간에 무얼 하면 좋을까? 삶이 더 나아지는 방법을 생각해보자. 삶이 더 나아지는 상상을 해보았는가.
그렇다면 그게 얼마나 재미있을지도 알것이다. 상상을 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 현재 시간을 아끼고 여유를 찾는 게 결국 미래의 삶의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현재의 시간만 보고 살지 말고 미래의 시간까지 생각하면서 그때를 위해 더 나아가기 위해 쉬지 말고 열심히 하지 말고 쉬면서 빈둥거리면서 이 책이 말하는 단순하게 살아봤으면 좋겠다.
시간과 내 인생이 내것이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간단하게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제부터 민폐 좀 끼치고 살겠습니다 - 고코로야 진노스케 (0) | 2020.09.15 |
---|---|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 미치 앨봄 (0) | 2020.09.14 |
타나토노트 - 베르나르 베르베르 (0) | 2020.09.12 |
마시멜로 이야기 - 호아킴 데 포사다 (0) | 2020.09.11 |
FBI 행동의 심리학 - 조 내버로 (0) | 2020.09.10 |
댓글